스칼라 함수형 프로그래밍 - 앞으로의 학습 로드맵

View: 164 0 0
작성자: 달빛제이크
카테고리: Scala Language
발행: 2024-06-02 수정 2024-06-21

안녕하세요. 달빛제이크입니다.

스칼라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공부하기에 앞서 스칼라에서 함수형 스타일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공부해야 할지 먼저 알아 보겠습니다.

이 글에서는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 보다는 키워드 위주로 나열하면서 앞으로 공부해야 할 것들에 대해서 살펴보려고 합니다.

  1. Functional Style (함수형 스타일) : val, side effect

  2. Functions and Closures (함수와 클로저) : Methods, Local functions, Function literals (First class functions), Partially applied functions, Closures

  3. Special usage of functions (함수의 특별한 기능) : Special functions call forms, Single abstract method (SAM), Tail recursion

  4. Control Abstraction (제어 추상화) : Higher-order functions, Currying, Control-abstraction function, By-name parameters

  5. Iterater and functional transformation (이터레이터와 함수형 변환) : foreach & for-do, map and for-yield

  6. Monads와 주요 연산자 : Monads(option[T] & Future[T]), map, flatMap, For-comprehension

스칼라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 관련 주제를 종합해서 정리하니 6개의 카테고리로 구분이 되고 20개의 세부 항목으로 나뉘어 지네요.

카테고리 별로 하나의 글에 설명하기에는 내용이 많을 것 같아서 1번을 제외하고는 각각의 세부 항목에 대해 구분해서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.

세부 항목들이 많아 보이나 사실 학문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고 프로그래밍의 문법적인 기능들을 익히는 것이기 때문에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.

되도록 핵심 위주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명을 드리려고 해요.

앞에 작성한 항목들에 대해서 지금은 낯설게 느껴지겠지만, 각각에 대해 모두 공부를 한 이후에는 제목 만으로 그 역할과 기능이 쉽게 머리 속에 떠오를 거라 기대합니다.

그럼 다음 글에서 본격적으로 스칼라의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comments 0